자격증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 후기!

VNAROOOD 2019. 1. 1. 22:23

2018년 제 19회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 후기입니다



1. 목표

 - 2018년 11월 24일 치뤄지는 제 19회 ADsP 자격검정시험에 응시, 자격증을 취득하자!



2. 도전 배경

 - 개인적으로, 입사 후 1년에 1개 이상의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했었다는 걸 떠올림 (2015년 OCP 취득, 2016년 SQLD 취득, 2017년 취득 없음)

 - 2018년 말, 회사 프로젝트 종료 후 늘어난 개인 시간을 자격증 취득에 투자하기로 함



3. 개인 수준(역량)

 - 인문계 출신 프로그래머

 - 주언어: Java, javascript, jQuery

 - 2016년 말 부서 내부의 작은 소과제(?)로 R을 사용한 데이터 분석에 아주 잠깐 참여함

   당시 R로 Word Cloud 만들어만 봤고, 통계적 지식 전무했음

   즉, R이 뭔지는 알고 깔아만 본 수준



4. 학습기간 & 방법


  1) 학습 기간

 - 11월 초 ~ 11월 23일, 약 3주

 - 주간에는 부서 업무와 병행해야 했기 때문에, 퇴근 후 및 주말을 적극 활용


  2) 학습 도서

 학습은 아래 두 도서로 하였으나, 시대고시기획 책은 '요약본' 처럼 느껴졌습니다.

 다른 책으로 공부한 뒤 한번 더 되짚어 보는 도서라고 판단함. 이 책만으로 공부하면 '이게 뭔소리야...'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

 

 데이터에듀의 책은 회사에서 인강+도서를 제공해줘서 얻었는데, 주로(약...98%?) 이 책으로 공부하였습니다.


   데이터분석 전문가 | 준전문가 단기완성 (시대고시기획) 2018년본

출처: 알라딘




   2018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DATA EDU) 2018년본

출처: 알라딘


  


  3) 주 학습 방법

 아래 시험 과목을 보시면 알겠지만, (출처: DBguide.net)



데이터 이해와 데이터 분석 기획은 암기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어렵지 않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시험 치고 나서는 2과목때문에 멘붕이었지만요. ㅋㅋㅋ)

다만 데이터 분석 과목이 문제인데, R도 공부해야 하고 통계 분석 방법론, 정형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 분석 방법 등을 공부해야 합니다.


R은 실제로 설치 후 코드를 작성해가며 공부하니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었지만,

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다차원척도법, 분류분석, 군집분석, 연관분석 등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있고 R로 수행한 결과를 해석해야 하는 문제도 있어 집중적으로 공부했습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학습했습니다.


첫째, 구글 독스에 내용을 정리합니다. 구글 독스에 소과목별로 정리하면 이후 언제든 폰으로 쉽게 볼 수 있고, '아 이거 뭐더라..?' 싶은 내용을 키워드만으로 검색하기도 수월합니다.


둘째, 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등 독학으로 한계가 있는 부분은 인강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텍스트로 된 책을 읽기만 하는 것보다는 전문가의 설명을 듣고 직접 해보기도 하는 게 확실히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셋째, 구글 독스에 정리하면서 어려웠던 내용이나, 잘 이해되지 않았던 내용은 직접 손글씨를 쓰면서 학습합니다. 키보드로 타이핑하며 정리하는 건 손이 하는 일이지만, 손글씨로 정리하는 것은 뇌가 하는 일입니다. 타이핑보다는 손글씨가 확실히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단, 저는 악필이라 손글씨로 정리한 걸 다시 보지는 않았습니다 ㅋㅋ.. 직접 쓰며 정리하는 데 의의를 두었어요.


3주 동안 업무도 몰아치는 바람에, 시험공부할 짬을 내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시험 전날 새벽까지 보고 또 보고를 반복했습니다...



5. 시험 후기


의외의 복병은 2과목이었습니다. 


시험장에서 문제를 모두 푼 뒤, 확실히 답이라고 생각하는 것만 맞았다고 가정하고 가채점해보니 약 60점이었습니다 ㅠㅠ


게다가 2과목에서 긴가민가 하는 문제들을 틀렸다고 가정하면 과락이 나올 수준이었습니다.

3과목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학습 초반에만 신경썼던 2과목에서 뒤통수를 맞은 거죠.


그러나 다행히, 하늘이 도우시어, 과락을 면하고 턱걸이로 합격했습니다 ㅠㅠ



1과목 데이터 이해는 실무자라면 어렵지 않게 통과하시리라 생각합니다.


2과목은 저처럼 방심하다가 과락이 나오지 않도록 조심하셔요 ㅠㅠ


3과목은.. 반복 또 반복으로 최대한 많은 점수를 취득하시기를 바랍니다.


 

6. 총평


 1) 통계 전공자 부럽습니다. 데이터 분석하는 실무자들도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시야가 다르다는 지인의 말이 있었는데, 역시 전공자 bbb


 2) 다음부터는 더욱 철저하게 준비하여 자격증 시험 후에 후달리는 마음으로 발표날을 기다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3) 2019년에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 (ADP) 취득이 목표였는데, 데이터 분석 경험을 더욱 쌓은 후 취득하는 방향으로 선회했습니다. 대신 R로 부서 내에 데이터 분석하는 걸 도입해봐야겠습니다.